*Financial Independence..그래 좋은거 다 안다. 그럼 얼마가 필요하며, 하려면 뭘 해야 하는가?
*Financial Independence는 여러가지 의미가 있을 수 있지만, 필자는 “내가 꼭 어떤 회사를 다니지 않더라도 나와 내 가족이 경제적 어려움 없이 살 수 있는 상태” 정도로 의미를 부여하고 싶다.
-
나 또는 나의 가족이 필요한 한달 생활비를 계산한다.
여기에는 집(월세, 모기지), 세금, 식비, 차, 옷, 보험 및 의료비와 같은 우리 가정이 필요한 돈이 다 포함된다.
예) 총 4천불= 집세(2천불), 차, 보험 및 기타 비용 (2천불) -
위의 생활비가 현재는 어떻게 충당되고 있는지 파악한다.
필자의 경우는 회사에서 받는 월급으로 이 비용들을 지불하고 있다.
예) 월급 오천불 -
매달 생활에 필요한 비용을 회사 월급 이외의 곳에서 창출 할 수 있도록 다른 수입처를 만든다.
지금 단계는 가장 중요하고 어려운 부분이다. 중장기 계획을 세우고 실천해 나가야 한다.
개개인의 능력이나 기술을 이용하여 추가 수입을 만들어야 한다.
예) 부업(e-book, 온라인 비지니스, 블로그 운영, 과외, 컨설팅 등), 투자수익(이자, 주식배당, 임대수입 등)여기서 필자가 선호하는 방법은 되도록이면 내가 처음 setup을 한 이후에 손이 덜가는 방법이다. 요즘 많이 말하는 *Passive Income을 창출하는 것이다. 예를들어 가장 Passive한 투자 방법은 주식에 투자하는 방법이다. 지난 100여년을 돌아보면 S&P 500 Index fund는 중간에 하락을 경험하기도 하지만 장기적으로는 연이율 7-8%를 기록 했다.
*Passive Income이란 회사의 직원으로서 매일 매일 출근하면서 소득을 얻는것 같은 Active Income의 반대되는 개념으로, 투자나 초기 셋업 후 최소한의 관리만으로 정기적인 소득을 창출하는 수단을 의미한다. 주식 배당, 채권에서의 이자소득, 월세로 인한 임대수익이 대표적인 Passive Income이다. -
그럼 Financial Independence (FI) 를 위해서는 도대체 얼마가 필요한 것인가(FI Money)?
일년 생활비 / 예상 투자 연 수익률 = FI Money
예) ($4,000*12)/ 8% (S&P 500) = $48,000/0.08 = $600,000
우리가 계속 사용한 예를 이용하면, $600,000을 S&P 500 Index Fund에 투자하면 이론상 매달 4천불의 소득을 얻을 수 있는 것 이다.
*물론 여기서 예를 든 것 처럼 쉽게 되지는 않을 것이다. 여기서 필자는 FI를 위해 필요한 돈이 얼마인지 계산하는 방법을 나누고자 하는 것이다.
지금 투자 가능한 $600,000 혹은 FI Money가 이미 있다면 참 좋겠다만 대부분의 사람들에게는 이러한 목돈이 없을것 이다. 그래서 그렇게 큰 목돈을 만들어야겠다는 생각보다, 월급이외의 추가 수익을 일년에 조금씩 늘려 나갈 수 있는 부업이나 투자활동을 늘려나가려고 하는 노력을 기울이는 것 이 좋다는 생각이다.
그렇게 하기위해서는 현재 나의 수입과 지출을 정밀하게 분석하고 조정하는 것을 시작해야 할 것이다.
다른 포스팅에서 Passive Income 창출을 위해 필자가 하고 있는 방법을 좀 더 자세히 나누겠다.